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홈플러스 15개 폐점 지점 주소와 대체 쇼핑시설

by iris0328 2025. 8. 14.
홈플러스 폐점 지점
홈플러스 폐점 지점

목차

     

    최근 유통 업계에서 큰 화제가 된 뉴스가 있습니다. 바로 홈플러스가 전국 15개 지점을 순차적으로 폐점하겠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이는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되고, 임대료와 인건비 부담이 커진 것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특히 임대 매장 중 장기적으로 매출 부진이 이어진 곳, 주차나 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점들이 폐점 대상이 됐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폐점 예정 지점의 상세 주소와 함께, 각 지점 주변의 대체 쇼핑시설을 안내하고, 나아가 지역별 상권에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 홈플러스 폐점 관련기사 보러가기

    폐점 예정 지점과 주소, 대체 쇼핑시설

    1. 시흥점

    주소: 경기도 시흥시 비둘기공원로 22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시화점, 롯데마트 시흥점

     

    2. 가양점

    주소: 서울 강서구 양천로 431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목동점, NC백화점 강서점

    3. 일산점

    주소: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55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주엽점, 롯데마트 킨텍스점

     

    4. 계산점

    주소: 인천 계양구 장제로 772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계양점, 이마트 부평점

    5. 안산고잔점

    주소: 경기 안산시 단원구 광덕대로 194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안산점, 뉴코아 아울렛 안산점

     

     

    6. 수원 원천점

    주소: 경기 수원시 영통구 중부대로 437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영통점, 롯데마트 권선점

    7. 화성 동탄점

    주소: 경기 화성시 동탄대로 469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트레이더스 동탄점, 롯데마트 동탄점

     

    8. 천안신방점

    주소: 충남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885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천안점, 이마트 천안서북점

    9. 문화점

    주소: 대전 중구 문화동 1-5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대전점, 홈플러스 탄방점(운영)

     

    10. 전주완산점

    주소: 전북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400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전주점, 롯데마트 전주점

    11. 동촌점

    주소: 대구 동구 효목동 1044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만촌점, 롯데마트 칠성점

    12. 장림점

    주소: 부산 사하구 장림로 123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사하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하단점

    13. 부산감만점

    주소: 부산 남구 감만동 235-1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광복점, 홈플러스 아시아드점(운영)

     

    14. 울산북구점

    주소: 울산 북구 산업로 1020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롯데마트 울산점, 메가마트 울산점

    15. 울산남구점

    주소: 울산 남구 삼산로 180

    폐점 예정 시기: 2025년 하반기

    대체 쇼핑시설: 이마트 울산점, 롯데백화점 울산점

     

     

    지역별 상권 영향 분석

     

    이번 폐점 발표는 수도권과 지방을 고르게 포함하고 있어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도권의 경우, 이미 대체 쇼핑시설이 밀집해 있는 편이지만, 일부 주거 밀집 지역에서는 접근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시흥, 안산, 화성 등은 인근 대형마트와의 경쟁이 치열했지만, 홈플러스가 사라지면 나머지 유통 채널이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큽니다.

    지방에서는 폐점에 따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천안, 전주, 대전 문화동 등은 대형마트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주민들의 장보기 동선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울산과 부산의 일부 지역은 폐점 후 기존 마트로의 접근 시간이 10~15분 이상 늘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폐점 부지의 활용도 관건입니다. 일부 부지는 창고형 할인매장, 복합 쇼핑몰, 물류센터로 재개발될 수 있으며, 이는 인근 부동산 시장과 상권 구성에도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구조조정이 단기적으로는 소비자의 불편을 유발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유통업체들의 효율성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